|
[ 옛부터 불리워진 8 朴 ]
모든 박씨는 신라 시조왕 박혁거세(朴赫居世)왕을 유일조로 받들고 있다. 박씨는 다른씨족과는 달리 역대 세계가 비교적분명한 것이 특징이다.박혁거세왕의 탄생에 대하여서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다. 신라 혁거세왕으로 부터 시작된 박씨는 신라의 멸망과 후삼국,고려(高麗), 조선시대를 이어오며 여러 관향으로 분적되었다. 여러 관향으로 분적한 박씨중에서도 옛부터 8 朴 이라고 불리워지는 박씨들이 있었으니, 반남박씨, 밀양박씨, 고령박씨, 함양박씨, 죽산박씨, 순천박씨, 무안박씨, 충주박씨를 8 朴 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것은 이
8 朴이 역사상 많은 인물을 배출했기 때문이다.
▣반남박씨(潘南朴氏)
▣밀양박씨(密陽朴氏)
▣고령박씨(高靈朴氏)
▣함양박씨(咸陽朴氏)
▣죽산박씨(竹山朴氏)
▣순천박씨(順天朴氏)
▣무안박씨(務安朴氏)
▣충주박씨(忠州朴氏)
[ 고령 박씨(高靈朴氏) ]
중시조는 박언성(朴彦成)이다.
그러나 중조 이후 세계가 실전되어 계대가 불가능하므로 사인공파 파조 박섬(朴暹), 부창정공파 파조 박환(朴還), 주부공파 파조 박련(朴連) 등 3파로 나뉘어 세계를 잇고 있다.
고령박씨는 조선조에서 문과 급제자 56명, 상신 1명, 청백리 4명, 호당 1명, 공신 1명을 배출하여 벼슬 열력으로는 밀양박씨, 반남박씨, 죽산박씨에 버금간다. 3파 중에서도 사인공파와 부창정공파가 인물을 많이 냈는데, 부창정공파는 주로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성세를 보인 반면 사인공파는 조선 후기에 두각을 나타냈다.
사인공파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박은(朴誾), 박장원(朴長遠), 박양한(朴亮漢), 박문수(朴文秀) 등을 들 수 있다. 읍취헌(相翠軒) 박은(자는 중설(仲說), 호는 읍취헌(相翠軒))은 박담손(朴聃孫)의 아들로 한시로 조선 5백년에 걸쳐 으뜸가는 인물로 알려지고 있다. 그는 15세에 이미 문장에 일가를 이루고 연산군 1년(1495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진사가 되었고, 다음해 18세로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1498년 사가독서를 했다. 승문원에 발탁되어 홍문관의 정자.수찬을 역임하고, 호당을 거쳐 경연관으로 5년간 있으면서 바른말을 잘하여 연산군이나 대신들로부터
경원되었다. 당시의 권신인 류자광(柳子光), 이극균(李克均) 등을 규탄하는 소를 올린 것이 화가 되어 파직당했다. 이 때부터 산수를 주유하면서 문주로써 소일, 독서에 열중하여 많은 책을 일었고, 1504년 지제교에 임명되었으나 이 해에 일어난 갑자사화로 동래에 유배되었다가 다시 의금부에 투옥되었다가 사형당했다. 1506년 신원되고, 도승지에 추증되었다. 저서에 <읍취헌유고(相翠軒遺稿)>가 있다.
문효공(文孝公) 박장원은 현종 때 서인의 중진으로서 이조와 예조의 판서를 역임했고 그의 아들인 매옹(梅翁)박양한은 숙종~영조대의 학자로 고산현감을 지냈다. 그의 저서 <매옹한록(梅翁閑錄)>은 인조대부터 숙종대까지의 시사를 엮은 것으로 귀중한 사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암행어사로 유명한 충헌공(忠憲公) 박문수(자는 성보(成甫), 시호는 충헌(忠憲))는 문효공 박장원의 증손이며, 박긍한의 아들이다. 그는 1723년(경종 3년)때 증광문과에 급제, 사관을 거쳐 병조정랑이 되었다가 1724년(영조 1)에 노론이 집권하면서 삭직되었다. 뒤에 소론이 집권하자 1727년 정미환국으로 사서에 등용되어 영남 암행어사로 나가 지방 관리들의 수탈과 횡포를 뿌리뽑아 명성을 떨쳤다. 그 후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오명항(吳命恒)의 종사관으로 전공을 세워 경상도 관찰사에 발착되고, 분무공신 2등으로 영성군에 봉해졌다. 1730년 참찬관에
이어호서어사로서 기민을 구제, 1734년 진주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와 호조참판이 되었다. 1737년 병조판서를 거쳐 다음해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1741년 함경도 진휼사로 경상도 곡식 1만 석을 실어다 기민을 구제, 송덕비가 세워졌다. 다음해 병조판서, 1743년 경기도 관찰사가 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아 다음해 황해도 수군절도사로 좌천되었다. 그 후 영남 균세사, 지성균관사, 판의금부사, 세손사부 등을 역임, 1752년 왕세손이 죽자 약방제조의 책임을 추궁당해 제주에 안치됐으나 다음해 풀려나와 우참찬에 올랐다. 군정과 세정에 밝았으며, 암행어사
시절의 많은 일화가 전한다.
고령박씨가 낸 유일한 상신인 문익공(文翼公) 박영원(朴永元)은 순조 때 문과에 급제, 철종 때 좌의정을 지냈다. 고 박정희(朴正熙) 대통령도 사인공파에 속한다.
부창정공파의 박광순(朴光純)은 고려 말엽에 문하찬성사를 지냈고, 박광우(朴光佑)는 문하시중을 지냈다. 박우생(朴雨生) 역시 문하시중을 지냈고, 박임종(朴林宗)은 우왕조에 여러 차례 왜구를 방어하고 문하평리에 이르렀다.
조선조에서는 박임종의 아들 무숙공(武肅公) 박만(朴蔓)이 건국 초 야인의 침입이 잦자 도원수로 출정, 이를 격퇴시켰으며 정종조 제 2차 왕자의 난 때에는 예조판서로 이에 동조하지 않은 탓으로 유배되었다.
박처륜(朴處綸)은 성종 때 등과, 남양부사로 나가 선정을 베풀고 대사간.부제학 등을 지냈으며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박영준(朴永俊) 역시 성종 때 이조판서를 지내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충숙공(忠肅公) 박난영(朴蘭英)은 선조 때 면천군수와 중군 등을 거쳐 1619년(광해군11) 강홍립을 따라 후금국 정벌에 나가 포로가 되었다가 8년만인 1627년(인조5)에 풀려나 귀국하여, 조선을 괴롭히는 후금에 회답관, 선유사, 선위사, 추신사, 춘신사 등으로 수차 왕래하면서 회유에 힘썼다. 그 후 1636년 병자호란 때 청장 용골대(龍骨大), 마부대(馬夫大) 등과
청영에서 청군이 화친 조건으로 왕자와 대신을 볼모로 보내줄 것을 요구하자 왕족인 능봉군을 왕자로, 형조판서 심집을 대신으로 가장시킨 것이 탄로되어 청나라 장군에 의하여 죽임을 당했다. 후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학암(鶴巖) 박정번은 선조대의 유학자로 이름이 높았으며 당대의 유현들과 깊이 사귀었다. 삼오당(三吾堂) 박만중(朴萬重)은 인조 때 진사에 급제했으나 숙종조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인현왕후(仁顯王后) 민씨가 폐위되자 벼슬에 뜻을 버리고 후진 양성에 힘쓰는 한편 성리학을 연구하여 제식을 작정했다.
근대에는 박정희(朴正熙) 대통령이 있다. 한국의 5대 대통령으로 박숙동의 후손이며, 박성빈의 아들로 1961년 육군소장으로 5.16군사 혁명을 주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되어 1962년 대통령 권한대행이 되고, 1963년 민주공화당 총재에 추대되었다. 해 10월 5대 대통령 당선을 시작으로 그 후 6, 7, 8, 9대까지 역임했다. 재임중 2, 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실천과 조국 근대화에 몰두 하였으며, 1970년 4월에는 <새마을 운동>을 제창하여 전국적으로 전개하였으며, 중화학공업 육성, 자주국방등을 주창하는 등 우리나라 조국근대화에 많은
업적을 남겼으나, 장기집권 및 군사독재자라는 말도 듣고 있다. 74년 8월15일 광복절에 육영수여사를 문세광의 총탄에 잃고, 그도 79년 10월 26일 그렇게 믿었던 심복 김재규의 총탄에 파란만장한 생을 마감했다. 저서로는 <지도자도(指導者道)> <민족 중흥의 길> 등이 있으며, 동작동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
|